정부나 유관기관 등에서 증권 관련 제도를 신설하거나 변경할 때 증권사들이 전산시스템 구현 측면에서 실행 시기와 효과 등을 사전에 협의하고 검증할 수 있는 ‘IT 조정위원회’가 생긴다.
이에 따라 이달말 이후에는 제도 변경에 따른 증권사들의 전산 업무 집중화 현상이 어느정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달말 증권사 전산 실무자, 거래소 코스닥 선물거래소 등 유관기관, 금감원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IT 조정위원회’가 신설된다.
증권사 전산 실무자는 대형사와 중소형사를 막론해 5명 정도가 대표로 참여하게 된다.
‘IT 조정위원회’가 증권업협회 산하 협의체가 될지 금감원내 상설 기구가 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IT 조정위원회’에서는 거래소 코스닥 선물거래소에서 신상품을 개발하거나 제도를 개편할 때 증권사 실무자들과 시행 시기와 효과, 타당성 등을 사전에 협의하고 조정하게 된다.
그동안 증권사 전산 담당자들은 거래소 코스닥 등이 경쟁적으로 내놓는 새로운 제도와 신상품의 거래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산시스템을 개발하느라 과중한 업무 부담에 시달려 왔다. 제도 실시 일정에 맞춰 촉박한 시일내에 시스템을 개발하다 보니 사전 테스트를 충분히 하지 못한 채 시스템을 오픈해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일어났다.
코스닥 50 옵션 등 몇몇 상품은 사전에 타당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아 실시 이후 각 증권사당 개설 계좌가 5개 미만에 그치는 등 시스템 구축 대비 효과를 전혀 거두지 못하고 있다.
얼마전에는 LG 대우 삼성 대신 등 대형 증권사의 전산 업무 담당자들이 이같은 폐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증협에 요구한 바 있다.
증권사 전산 실무자들은 이번에 ‘IT 조정위원회’를 구성하면서 우선, 이달 28일 실시 예정인 개별주식옵션 상장 연기를 건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각 증권사들이 이달 초 주식호가 10단계 변경, 거래소 시세 전송 방식 변경 등 10여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느라 전산 인력들이 많이 지쳐있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좀더 오랜 시간동안 테스트를 실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유관 기관들과 자율적인 협의체를 만드것과 관련해 금감원이 개입할 수 없지만 무분별한 제도 개편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증권사들의 주장에는 일리가 있다”며 “이후 증권사들이 원할때마다 협의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