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선물업계에서는 선물거래소의 중개수수료를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다.
선물사들은 선물거래 활성화 차원에서 업계 공동으로 2차례에 걸쳐 거래수수료를 대폭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선물거래소만이 아직까지 주문당 1000원씩(정액제) 중개수수료를 받아가고 있다며 이는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특히 최근에는 선물업계도 온라인거래가 대폭 늘어나면서 전산운영 및 개발 비용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선물거래소가 중개수수료를 낮춰 회원사들의 전산비용 부담을 해소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관계자들의 주장이다.
18일 선물업계 관계자는 “최근 선물거래량이 대폭 늘어나고 있지만 그만큼 전산비용과 인건비등도 늘어나 중소업체들의 경우 더욱 어렵긴 마찬가지”라며 “이제는 선물거래소가 중개수수료를 내려 회원사의 비용부담 해소는 물론 거래활성화에 노력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현재 선물사들은 국채 달러선물 등의 경우 투자자들에게 거래수수료로 주문당 5000~8000원까지 받고 있다.
따라서 선물거래소는 회원사에 따라 거래수수료의 최고 20%를 중개수수료로 받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협회 예탁원 등 유관기관 수수료 및 손해배상공동기금까지 합치면 최고 27% 정도가 수수료로 나가게 된다.
이는 증권사의 유관기관 매매 제비용(0.0135%)과 비교해볼 때 2000배나 많은 수치이다. 선물과 증권업계의 거래량과 거래규모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없지만 상식적으로 선물사들이 너무 많은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는 것이 업계 공통된 지적이다.
선물업계 관계자는 “선물사들은 거래활성화를 위해 지난 99년부터 2차례에 걸쳐 1만3000원이었던 거래수수료를 5000원까지 인하했지만 유관기관 비용은 변한 것이 아무것도 없다”며 ”특히 거래소에 내는 중개수수료 1천원은 현행 선물사의 수수료 체계로 볼 때 너무 비중이 크다”고 주장했다.
반면 선물사들의 이 같은 주장에 선물거래소는 아직까지 과거 투자비용도 회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중개수수료를 인하한다는 것은 거래소로선 무리가 있다는 설명이다.
선물거래소 관계자는 “거래소 설립이후 2년간 적자를 기록하다 올 해 처음 흑자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선물거래량이 13만 계약을 넘는 등 발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이 같은 기조가 지속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수수료 인하는 당분간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