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선물업계 등이 상장주식 종목별 옵션상품의 증권거래소상장을 저지키로 함에 따라 코스피200 지수선물 이관때 처럼 지역간,업계간 대립이 재연될 조짐이다.
9일 선물거래소와 선물업계에 따르면 선물거래소는 정부가 내년부터 도입키로 한 상장.등록종목별 선물.옵션중 선물거래소가 맡은 코스닥에서는 상장할 만한 종목이 사실상 없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상장포기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선물거래소는 최근 종목별 유동성과 헤지필요성 등을 볼 때 코스닥에서는 선물.옵션도입이 가능한 종목이 많아야 2∼3개에 불과하고 그나마 일부는 거래소이전을 검토중이어서 실질적으로 상장이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선물거래소 관계자는 `아직 검토단계`임을 전제로 `시장형성이 어렵고 필요성도 낮은 종목을 상장시키기는 어렵지 않느냐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고 말해 상장포기를 강하게 시사했다.
이와 함께 선물거래소와 선물업계는 코스닥종목별 선물.옵션의 상장을 포기하는 대신 상장주식 종목별 파생상품시장의 선물거래소 조기유치계획을 펼치고 있다.
선물업계는 8일 사장단 간담회에서 `현.선물 분리원칙을 어긴 채 2004년에나 상장주식관련 파생상품을 선물거래소로 이관한다면 이중 투자가 발생할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관이 어려워진다`며 종목별 선물.옵션상품의 거래소 상장에 반대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선물회사 사장단은 `상장주식관련 파생상품의 증권거래소상장을 막기 위해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혀 지난해 코스피200 지수선물 이관을 둘러싸고 부산지역 시민단체 등이 가세한 `실력행사`가 재연될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선물거래소 관계자도 `지난 추석연휴중 시행된 시스템 업그레이드는 사실상 상장종목별 선물.옵션거래를 염두에 두고 진행된 것`이라고 말해 코스닥종목별 선물.옵션을 포기하고 대신 상장주식 선물.옵션의 조기이관을 추진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