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시장의 고질적인 병폐를 막기위해 당국이 코스닥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방안에는 침체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코스닥시장의 신뢰 회복과 수급불균형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시장퇴출요건 강화와 공모 해외CB 및 BW에 대한 주식전환 금지기간연장 등의 제도 개선은 코스닥시장의 안정화와 신뢰회복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에서도 이번 코스닥 활성화 방안에 긍정적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업계전문가들은 이번 당정회의에서 나온 방안들이 투자심리 안정과 수급조정 등 일정부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활성화 방안들은 이미 업계에서 수 차례 거론되던 것으로 시기적으로 늦은감이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매번 극단적인 상황에서 정부가 내놓는 정책들이 시장에서 어느정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하는 상태이다.
당국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정부 당국은 당정회의를 통해 코스닥 시장의 신뢰회복 및 수급안정화를 위한 코스닥 활성화 대책을 내놓았다.
우선 당국은 코스닥 시장의 신뢰회복을 위해 시장 퇴출요건을 선진국 수준으로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올해말까지 마련, 내년부터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코스닥시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주가 조작 사건에 대처할 수 있는 감시체계도 확충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공모 해외CB와 BW에 대한 주식전환 금지기간을 3개월에서 1년으로 강화된다. 다만 1년내 내국인이 장외취득할 수 없는 장치를 마련한 경우와 발행국에 유가증권신고서를 제출한 경우에만 3개월을 그대로 적용키로 했다.
수급측면의 경우 당국은 은행 투신 벤처캐피탈 등 기관투자가에 대한 주식매각제한 제도를 새롭게 마련, 기관투자가들의 매물로 인한 시장교란과 물량압박을 해소하기로 했다.
또 개인비중이 전체 96%를 차지하는 코스닥시장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기관투자가의 투자를 적극 유도하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이 같은 정부 당국의 코스닥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업계관계자들은 각종 제약으로 묶여 있던 부분들이 완화되거나 강화돼 시장의 투명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공모 해외CB 및 BW에 대한 주식전환 금지기간세분, 투자기간별로 주식매각을 차등화하기로 한 점 등은 안전한 투자환경과 경영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 같다”며 “또한 등록심사제도 개선과 퇴출기준이 제대로 강화된다면 시장 건정성을 한단계 높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