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이 대고객 상담과 내부 업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기 위해 양방향성이 뛰어난 통합메신저 도입에 나섰다.
통합메신저는 실시간으로 양방향 자료 교환이 가능하다는 특징 때문에 증권사의 대고객 상담, 내부 업무 생산성 향상, 고객과 증권사는 물론 증권사 내부 직원간 커뮤니케이션 강화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된다.
증권사들은 통합메신저를 통해 HTS 이용 고객들의 편의를 높이고 내부 직원들간의 업무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6일 금융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 통합메신저를 도입했거나 하고 있는 곳은 LG 대신 굿모닝증권 등이다.
LG증권은 지난해 말부터 UMS업체인 블루버드소프트와 ‘이프엘지(ifLG) 메신저’를 개발하기 시작해 최근 이를 구축 완료했다. 최종 테스트를 진행중이며 화상, 음성 전송 등을 제외한 기본 서비스는 오픈한 상태다.
‘이프엘지 메신저’에는 쪽지쓰기, 채팅, 파일 전송, 메일 확인, 친구 목록 관리 등 기본적인 서비스 외에 음성 및 화상 전송, 애플리케이션 공유, 화이트보드 기능이 추가됐다.
굿모닝증권 역시 최근 블루버드소프트와 통합메신저 구축 작업을 시작했다.
LG증권과 굿모닝증권의 통합메신저는 실시간으로 투자자에 대한 상담이 가능한데다 싱글사인온(Single Sign On)개념을 적용, 그룹웨어와 연계시 내부 직원들간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증권은 대고객 서비스 차원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메신저를 공급하고 있으며 미래에셋 등 중소형 증권사들도 조만간 통합메신저를 도입할 계획이다.
한편 이런 추세와 맞물려 관련 업체들의 통합메신저 마케팅 바람도 거세지고 있다.
이미 LG 굿모닝을 레퍼런스 사이트로 확보한 블루버드소프트는 증권사는 물론 온라인 교육업체 등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펼쳐나갈 예정이며 디지웍스는 증권사들을 대상으로 자체 개발한 ‘통합 MCUG(Messenger Crew User Group)’솔루션의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디지웍스의 ‘통합 MCUG’는 분산 인덱싱 기술에 의한 소규모 그룹간, 인터넷 정보시스템과의 정보중계, 전자상거래 시스템으로 소그룹 이용자간의 정보 교환 및 타 그룹과의 정보교환 기능, 인터넷 정보 시스템과의 전자상거래 연계를 지원하는 다중서버 시스템이다.
하나의 아이디로 야후 ICQ MSN 등의 메신저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미니 주식거래 기능을 추가해 평상시 전문 HTS를 통해 주식을 거래하기 어려운 직장인 등에게 유용하도록 설계했다.
UMS 기능을 기반으로 자기 그룹으로 지정된 사람들에게는 온라인 쪽지와 팩스 등 여러 채널로 의견과 자료를 전달할 수 있게 했다.
한 통합메신저 업체 관계자는 “통합메신저를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대고객 상담을 할 수 있고 수시로 서류를 열람할 수 있는 등 그룹웨어 기능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증권사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