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정부가 올 초부터 준비한 선물거래법시행령으로 인해 내년 3월 기존 선물거래방식이 대폭 개편되기 때문이다. 이에 증권사들은 ‘날림공사’식으로 시스템 구축을 서두르는 것 보다 모든 증권사가 내년 3월 개편된 방식에 맞게 선물거래시스템을 구축한 다음 코스닥선물거래를 오픈하는 것을 제안하고 나섰다.
23일 증권업계 관계자는 “선물거래방식이 개편되면 시스템 재구축이 불가피하자 내년 3월에 맞춰 선물거래시스템을 오픈하려는 증권사가 속속 생기고 있다”며 “따라서 내달 15일 증권사들의 시장참여가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SK, 미래에셋증권 등 일부 증권사들은 내년 3월 선물거래시스템을 오픈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느긋하게 시스템 구축 계획을 진행해 나가고 있다.
이들 증권사들은 기본적인 시스템 테스트기간도 거치지 않고 무리하게 선물거래시스템을 오픈, 전산사고가 일어날 경우 책임은 누가 지냐며 무리하게 시스템 구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한 시스템 구축을 마무리한 증권사들도 내년 3월로 시장참여를 미루고 있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초기 시장참여를 통해 시장선점을 노리던 증권사들도 시스템 재구축과 청산문제로 인해 시장참여를 늦추고 있다”며 “증권사들이 참여하지 못한 상태에서 코스닥선물거래를 진행해 봐야 얼마나 활성화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