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채권은행단을 통해 워크아웃 잔존 46개사(대우계열 12개사 포함)에 대한 실태를 우선 점검하고 연내 조기졸업 및 퇴출업체를 결정한다. 앞으로 2개월동안 채권단이 46개사에 대한 회생가능성 여부를 심사하면 11월 하순쯤에는 이에 대한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대우차 포함 대우계열 12개사는 내달 말까지 매각 또는 정상화 여부에 대한 처리방침이 확정된다. 이 과정에서 채권단간 협의를 거쳐 매각대금이 분배되고, 잔여채권에 대한 교통정리가 이뤄진다. 반면 손실이 발생했거나 추가로 소요되면 채권금융기관은 워크아웃플랜에 따라 부담금액을 나눠야 한다. 그러나 대우차 처리문제가 가닥이 잡히지 않아 1개월내 뚜렷한 성과가 나타날지는 미지수로 남게 됐다.
법정관리ㆍ화의기업도 회생 가능성 및 구조조정계획 재평가가 이뤄져 연말쯤 정상화 기업과 청산기업으로 나눠진다. 이들 기업은 회사 정리절차에 대한 감시가 이전보다 강화되고, 더 이상 법정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기업은 법원과 협의하에 조기졸업이 가능해진다.
빅딜 대상기업에 대한 손질도 단행된다. 정부는 빅딜 대상기업중 정상화 지연기업에 대해서는 주채권은행을 중심으로 연내 정상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채권단도 필요하면 추가로 손실분담을 유도할 계획이다.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