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 최근 증권업계의 조기도입 요구에도 불구, 투신권의 반대와 증권사의 랩운용 전문인력 부재 등의 이유로 도입이 되더라도 투신상품과 비슷해져 투신권의 자금이탈만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임형 랩상품 도입은 연내에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일임형 랩어카운트 상품 조기 도입을 주장하는 증권업계의 요구에 대해 금감원은 투신권이 반대하고, 증권사의 전문인력 부재로 투신상품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과 투신권의 자금이탈만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 등의 이유로 조기도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와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자문형을 허용하면서 일임형 허용 여부도 검토했으나 투신권의 자금이탈 현상이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투신상품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잇달아 도입 시기를 늦췄다”고 말했다.
따라서 도입시기는 관련법안이 통과되는 9월 정기국회이후 구체적인 시기가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빨라야 내년초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증권업계 일각에서는 금감원의 이런 태도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금감원이 일임형 랩상품이 투신상품화 될 수 있다는 걱정은 기우에 불과하다”면서“특히 투신권의 자금이탈현상과 증권사의 랩상품 허용과 연결짓는 것은 이해할 수없다”며 반발했다.
한편 일임형 랩상품은 앞서 허용된 자문형보다 업계가 조기 도입을 원했지만 금감원의 인식 부족과 금융사고 분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등의 석연치 않은 이유로 도입시기를 늦춰 업계의 불만을 사왔다.
박용수 기자 pys@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