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현대해상은 손해사정회사를 자회사로 인수함에 따라 손해사정업무의 전문성을 높여 보험계약자에 대한 보상서비스를 강화하고 보험가입자의 이익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건물관리회사의 인수로 효율적인 사옥관리를 통해 사업비 절감으로 인한 수익성 제고 등 재산운용의 효율성 증대와 경영의 건전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상위권의 대형손보사들은 손해사정회사를 자회사로 운영하게 됐는데 이는 전문성 추구와 함께 비용 절감 효과도 있으며 보다 세밀한 손해사정이 가능해 고객만족을 추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미 동부와 삼성은 오래전부터 손해사정회사를 자회사로 운영하고 있고 LG화재도 지난 14일 럭키자동차손해사정회사를 자회사로 인수한 바 있다.
따라서 상위사들처럼 손해사정회사를 자회사로 둘 수 없는 형편인 중소형사들은 보상조직 통합 작업이 지지부진한 것에 아쉬워하고 있다. 앞으로는 소비자들이 자동차보험에 가입할 때 보험료와 함께 보상서비스 수준도 고려하는 시대가 될 것이라는 측면에서 어떤 형태로라도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게 중소형사 관계자들의 생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부가보험료 자유화로 본격적인 가격 경쟁이 예고되는 가운데 보상서비스 경쟁까지 불붙게 되면 중소형사들은 더욱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보상조직 통합이 그 대안인만큼 성사시키는데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김성희 기자 shfree@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