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협회는 조수웅 전무가 물러남에 따라 그 후임으로 감사원의 고동수 국장을 영입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노조측은 보험업계 출신이 아닌 감사원 출신이 전무이사로 영입된다는 점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인사를 하루 앞둔 14일 협회 노조는 집회를 갖고 "업계의 발전을 위해 일하겠다던 박종익 회장이 취임하자 마자 `낙하산 인사`를 단행하고 있다"며 "보험업계 출신이 아닌 외부 인사 영입은 오히려 업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번 인사 조치가 취소되지 않을 경우 강도 높은 투쟁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인사는 박종익 회장과 조수웅 전무의 힘겨루기에서 조전무가 밀렸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손보협회에서 30년 가까이 근무한 조전무는 그동안 실질적인 인사(人事)권을 쥐고 있었으나 개혁성향의 박종익 회장이 취임하면서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었으리라는 분석이다.
TK 출신인 조전무가 실질적인 인사권을 가지고 있었던 관계로 같은 지역 출신들이 노른 자위를 차지했고, 이외의 출신들은 불만이 쌓여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박종익 회장이 취임하자 일찌감치 이번과 같은 사태를 예견했다는 관계자들의 얘기도 들린다. 서로 성향이 다른 두 거물(?)이 같은 배를 탈 수는 없지 않겠느냐는 것.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럼에도 보험업계 출신이 아닌 외부 인사를 전무이사로 영입한 것은 잘못이라는 노조측의 주장은 설득력을 갖고 있다"며 "박회장이 업계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협회장으로서 지지를 받았던 만큼 좀더 신중하게 고려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손보협회 측은 타 업계와 달리 손보업계는 자동차보험이라는 민감한 사안이 항상 존재하고 있어 로비력을 기르기 위해서라도 외부 인사 영입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유야 어찌됐든 외부 인사를 영입하려 했다면 먼저 임직원들에게 뜻을 충분히 설명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했다는 것이 이번 인사 소동을 지켜본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김성희 기자 shfree@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