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추천해 올린 사람 대신 금감원이 일방적으로 지목해 선임토록 하고 이로인해 관변인사들이 무더기로 비상임이사로 선임되고 있다. 한편 금융당국의 후광을 입고 선임된 일부 비상임이사들은 인사 및 특혜성 청탁을 일삼아 빈축을 사고 있다.
2일 금융당국 및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한빛은행과 조흥은행 비상임이사 선임 당시 두 은행이 선정해 올린 비상임이사 후보중 일부는 승인했 주었으나 전체 비상임이사의 60~70%를 정부가 지명한 인물로 채우도록 했다.
외환은행에 대해서도 코메르츠에 할당된 2명을 제외한 전체 비상임이사 7명중 5명을 금감원이 추천해 내려 보냈다. 박영철 이사회의장을 비롯, 김상경 이희수닫기

이처럼 공적 자금 투입은행의 비상임이사 선임과정에서 금감원이 적극 개입하는 등 정부가 사실상 인사권을 행사하고 있는 것은 대주주로서 경영을 감시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지만 그 정도가 지나치다는 것이 금융계의 중론이다.
특히 비상임이사 선임부터 정부가 적극 개입하면서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어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은행 비상임이사들을 선임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친정부적 인물들로 비상임이사회가 구성되고 그 결과 전문성은 있으나 경영 실무 경험이 없는 사람들로 짜여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단적으로 한빛은행의 경우 9명의 비상임이사중 경영실무 경험이 있는 사람은 송병순 의장, 윤윤수 필라코리아사장 등에 불과하다. 조흥은행도 6명의 비상임이사중 경영경험이 있는 사람은 이수영 동양화학대표 뿐이다. 외환은행도 박영철씨 등 7명의 한국인 비상임이사중 기업경영자는 백종헌 프라임산업회장에 불과하다.
친정부적 관변 인사들을 중심으로 비상임이사회가 구성됨으로써 집행부의 경영을 감시하고 내부 개혁을 선도하기 보다 정부 눈치나 살피고 고압적으로 개개인의 민원이나 해결하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한 시중은행에서는 일부 비상임이사가 은행 간부 인사에 개입, 집행부를 당혹스럽게 했고 또 일부에서는 점포폐쇄와 관련된 민원을 해결하려고 나서 비난을 받기도 했다.
금융계 관계자들은 "과거 산업 기업 국민 주택은행등 국책은행들에서 비상임이사들이 경영을 감시하고 개혁을 선도하기 보다 은행 경영진 위에 군림하고 청탁이나 하는 등의 병폐가 나타났었다고 상기하고 공적 자금이 투입된 은행의 비상임이사회도 이와 비슷한 길을 걷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