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홍 회장은 23일 오후 진행된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JB금융이 제시한 환원율 달성을 위해 1000억원 규모 자사주 매각이 필요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시장에 밝힌 주주환원 계획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사주 매입·소각을 더 해야 하는 것은 맞다"고 답했다.
그는 "배당가능이익이 제한돼 있기 때문에 올해 못하게 될 경우 내년 배당가능이익이 확보되는 대로 추가로 (자사주를 소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사주 소각에 따른 최대주주인 삼양사 지분율 확대 우려에 대해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다. 김 회장은 "삼양사 지분이 늘어나는 문제는 삼양사의 문제지 JB금융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지분이 늘어날 경우 삼양사도 매각하는 상황이 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지방금융지주의 동일인 주식보유 한도는 15%로 제한되며 현재 삼양사 측의 JB금융 보유 지분율은 6월 말 기준 14.14%다. 업계에서는 JB금융지주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으로 자사주 매입·소각을 할 경우 삼양사의 지분이 15%를 초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회장은 "삼양사로 인해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은 반드시 지킬 것이며 내년 배당성향이 확보되면 빠른 시일 내에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진행할 예정이고 두 번에 걸쳐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순이자마진(NIM)이 전년 동기 대비 0.20%p 하락해 2.64%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 "은행 두 곳의 이자이익 창출 능력이 저해돼있다"면서 "이자이익을 예상한 만큼 늘리지 못했으며 이에 대해 여러 가지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에는 개인신용대출을 늘릴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늘리려고 한다“며 ”NIM을 방어하면서 이자수익을 늘리는 것이 숙제로 내년에도 이 부분이 중요한 경영과제"라고 전했다.
김기홍 회장은 수익성 확대를 위해 인터넷전문은행과의 공동대출을 확대할 거란 계획도 밝혔다. 그는 “(광주은행-토스뱅크 공동 대출상품을) 8월 27일 출시했는데 9월 30일까지 약 700억원 정도의 대출을 팔았다"면서 "초반에는 상품 출시가 처음이고 혹시라도 연체율이나 부실이 높을 수 있어 조심스럽게 접근하다 보니 신용도가 높은 사람들 중심으로 대출이 나갔다"고 밝혔다.
더불어 "현재로서 부실율이 낮기 때문에 저희에게 중요한 수익원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연말까지 2500억원의 대출을 예상하며 내년에는 최하 5000억원에서 최대 1조원까지 판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 회장은 전북은행과 카카오뱅크의 공동대출 상품 준비상황도 전했다. 그는 "전북은행과 카카오뱅크 간 공동대출 출시를 위해 금융당국과 접촉을 시작했고 양사 간 상당히 많은 준비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내년 상반기까지 금융당국 샌드박스 인가를 받고 출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