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제2노조인 KT새노조는 19일 “영업이익과 연동한 성과급 체제로 개편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KT새노조는 이날 성명서에서 “최근 영업이익에 따른 성과급 기준을 명확히 하자는 젊은 노조의 요구가 거세고 있지만, KT는 업계 분위기와는 영 딴판”이라며 “회사의 불합리한 성과 배분 시스템에 대해 젊은 사원들의 분노는 높아지고 있지만, 회사 내부시스템에서는 아무런 공적인 문제 제기가 없다”고 비판했다.
KT새노조는 “성과급 체계는 수년째 그대로이며, 사실상 공기업 시절 정기 상여금에 대해서 명칭만 바뀌었다”고 밝혔다. 또 “성과측정이 원칙이 낡고 불투명한 상태”라며 “성과배분 시스템도 상대평가이다 보니, 전사적 성과관리 대신 내부경쟁과 줄세우기 문화가 기업을 짓누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성과급 체제가 기업의 공정한 성과배분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불합리하다고 비판했다.
KT새노조는 “황창규 회장에서 구현모닫기

KT새노조는 KT의 성과급 책정 기준은 곧 인재유출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수한 인재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관리는 전무하고, 내부 경쟁에 몰두하는 임원들의 보여주기 식의 낙후된 기업문화에 절망한 직원들이 기회만 되면 회사를 떠나고 있다”며 “직원들 사이에서는 경쟁사에 인력을 다 뺏기고 회사가 망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마저 팽배해있다”고 우려했다.
KT새노조는 제1노조인 KT노동조합에 대해 “제1노조가 잘못된 성과배분에 대해 철저히 침묵하고 있다”며 “제1노조도 더 이상 어용노조 시비에 휘말리지 않으려면 성과급 개선 투쟁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KT새노조는 열린 마음으로 젊은 조합원들과 함께 호흡하며 합리적 성과 배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T에는 제1노조인 KT노동조합과 제2노조인 KT새노조가 있다. 1노조 조합원은 약 1만8000명, 2노조 조합원은 20여명 수준으로 알려졌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