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설경기 불황 장기화 여파로 건설업체 폐업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 = 이미지투데이
정비업계에 따르면, 시공능력 평가 174위인 동우건설은 9월 5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30여 년간 관급공사 위주로 성장해온 강소 건설사였지만, 자체 브랜드를 내세워 민간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에 뛰어든 게 화근이었다고 분석된다.
대구·김포 오피스텔 현장에서 미분양이 쌓이면서 연대보증 채무와 회수 불가능한 미수금만 670억원에 달했다. 대주단의 채권 회수 압박에 자금 경색이 심화됐다. 회사는 정상 추진 중인 20여 개 관급공사까지 마비될 수 있다는 판단에 법정관리를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계에선 올 들어 법정관리 신청이 잠잠해지며 위기 국면이 진정되는 듯했으나, 여전히 지방 중견·중소 건설사에선 위기가 진행 중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올해 들어 법정관리를 신청한 중견 건설사는 총 13곳에 달한다. 지난 1월 신동아건설(시공능력 58위)과 대저건설(103위)을 시작으로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삼정기업(114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등이 잇달아 회생 절차에 들어갔다.
채무를 이기지 못하고 폐업 신고를 한 종합 건설사도 증가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8월 폐업 신고를 한 종합 건설사는 437곳으로 전년 동기(396곳)보다 10.4% 늘었다.
업계는 경영 악화의 원인으로 급등한 공사비와 장기화된 부동산 경기 침체를 꼽는다. 공사비, 인건비가 모두 올랐고 자잿값도 높은 가격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지방 악성미분양 문제가 심각하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전국 준공 후(악성) 미분양 주택 2만 7057가구 중 84%가 지방에 몰려 있다.
여기에 중대재해처벌에 대한 압박수위도 높아지고, 처벌을 골자로 한 건설안전특별법까지 법안이 발의된 만큼 대내외적으로 건설업계는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지방 건설업계 사정에 밝은 한 건설사 관계자는 “PF 자금 끌어오는 것 자체가 힘들어서 착공도 힘든 마당에 분양까지 안 되다 보니 임직원들이 의욕 자체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고 알고 있다”며 “부동산 호황기 시절 건설산업은 지속적으로 업체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최근 폐업 신고가 많아 업체 수 감소가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