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일 '2021년 2분기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잠정)'에서 2분기 중 증권회사(58사) 당기순이익은 2조3172억원으로 전분기(2조9943억원) 대비 22.6%(-6771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측은 "주식거래대금 감소 등으로 수수료수익과 자기매매손익이 감소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2분기 수수료수익은 4조152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8.7% 감소했다.
수탁수수료는 1조9995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0.7% 줄었다. 이는 국내외 주식 거래대금 감소에 따른 것이다.
IB부문 수수료는 1조277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8% 증가했다.
자산관리부문 수수료는 3325억원으로 0.2% 올라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2분기 자기매매손익은 8974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7.2% 줄었다.
주식관련이익은 전분기 대비 88.1% 감소한 1013억원, 채권관련이익은 전분기 대비 45.8% 증가한 6116억원으로 집계됐다.
파생관련손익은 전분기 대비 197.4% 늘어난 1845억원이다.
2분기 기타자산손익은 1조5648억원으로 0.2% 늘어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이다. 외환관련이익은 856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28.3% 늘고, 대출관련이익은 9015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7% 증가했다. 반면 펀드관련이익은 577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13.8%)했다.
증권사 2분기 판매관리비는 3조108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0.8% 늘었다.
2분기 말 전체 증권회사의 자산총액은 629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말(618조9000억원) 대비 10조8000억원(1.7%) 증가했다. 주가 상승 등으로 증권 보유액이 증가하고 신용공여금도 늘었기 때문이라고 금감원 측은 설명했다.
2분기 말 전체 증권회사의 부채총액은 556조1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6조8000억원(1.2%) 증가했다.
2분기 말 전체 증권회사의 자기자본은 73조6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4조원(5.7%) 늘었다. 특히 당분기중 자본확충(1조7000억원)으로 인한 증가폭이 컸다.
2분기 전체 증권회사의 평균 순자본비율은 746.6%로 전분기말 721.5% 대비 25.1%p(포인트) 올랐다.
2분기 전체 증권회사의 평균 레버리지비율은 658.1%로 전분기말(685.6%) 대비 27.5%p 하락했다.
아울러 2분기중 전체 선물회사(4사) 당기순이익은 91억원으로 전분기(111억원) 대비 20억원 감소(-18.0%)했다. 국내외 파생상품 수탁수수료 감소가 주된 요인이라고 금감원 측은 설명했다.
2분기 선물회사의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1.8%(연환산 7.3%)로 전년 동기(2.2%) 대비 0.4%p 하락했다.
2분기말 전체 선물회사의 자산총액은 4조3293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2.4% 줄었다.
2분기말 전체 선물회사의 부채총액은 3조8253억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14.0% 감소했다.
2분기말 전체 선물회사의 자기자본은 504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2.3% 증가했다.
금감원은 "증권회사의 영업 다변화 노력이 있어왔으나, 수탁수수료 비중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시장상황 의존성을 낮추기 위해 새로운 수익원 창출 노력이 필요하다"며 "올해 하반기에도 미국 금리인상 추진, 코로나19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으므로 대내외 잠재리스크 요인이 증권회사 수익성 및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금감원은 "아울러 부동산 경기 악화 등에 대비하여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채무보증 등 부동산 금융 현황도 상시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