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백신 보급, 재정지출 여력, 전년의 기저효과 등으로 금년 회복세에 국가간 차별화가 나타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과 중국은 세계경제(약 85조달러, `20년)의 24.8% 및 17.4%를 차지하고 있어 이들 국가의 독보적인 성장이 여타국들에게도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으나 부작용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강한 경제회복세를 보이는 미국과 중국으로 글로벌 투자자금이 집중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시중 유동성 증가로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수 있으며 금융-실물간 괴리를 확대해 자산가격의 조정 및 변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봤다.
손영환 연구원은 "성장 기대 국가와 지역에 대한 투자를 위해 신흥국으로의 자금유입 감소 및 유출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 "중국을 제외할 경우 작년 코로나 사태로 신흥국에서 유출된 대규모 자금의 재유입이 부진한 가운데 선진국과의 성장격차 확대가 자금유출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달러화 강세로 각국 정부 및 기업들의 자금조달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손 연구원은 "금년에도 경기부양을 위한 정부지출과 기업들의 유동성 확보 필요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특히 신흥국들의 달러표시자금 조달 및 상환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의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면서 정책당국의 당초 예상보다 강한 경제성장세를 보일 경우 재정 및 통화정책을 조기에 축소 기조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주요기관들이 금년 세계경제의 빠른 회복세를 전망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일부 국가의 고성장에 의해 주도되는 만큼 성장 차별화의 부작용도 함께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수출과 설비투자가 주도하는 한국의 회복세
국가별 경기회복 시기와 관련해선 "IB들의 분기별 전망을 보면, 세계 실질GDP는 금년 상반기 중 코로나 전 수준을 회복할 전망"이라며 "주요국들은 대체로 작년말 예상에 비해 회복시점이 빨라졌으나(中 이미 회복, 美∙韓 `21.2Q, 日 `21.4Q), 유럽은 코로나 재확산으로 회복이 지연(`22.1Q)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의 경우 경제회복경로가 기존 예상에 비해 소폭 상방 이동했고 코로나 전 수준 회복시기는 금년 2분기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손 연구원은 "재정∙통화 등 정책적 지원이 지속되는 가운데 수출과 기업설비투자가 금년 성장세를 주도할 것"이라며 "수요측면의 구조적 취약성(급속한 고령화, 자동화) 등으로 소비회복세가 예상보다 약할 가능성 등이 리스크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최근 들어 IMF 등 주요기관들이 금년 세계경제 전망치를 적극적으로 상향조정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