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건형 연구원은 "연준이 포워드 가이던스 변화 등을 통해 2023년까지 제로금리 유지를 예고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하 연구원은 "연준의 방파제 역할이 예상돼 향후 재정정책이 경제 및 금융시장 경로 좌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17일 미국 FOMC는 연방기금 목표금리를 만장일치로 0~0.25% 동결했다. 평균물가목표제(Average Inflation Target, AIT) 도입에 따른 성명서 문구 변화, 연준위원들의 연방기금 목표금리 점도표 전망, 파월 의장 기자회견 등을 통해 저금리 기조 장기화를 약속했다.
하 연구원은 "연준의 경기 및 물가 판단이 상향된 반면 수익률곡선제어정책(Yield Curve Target, YCT) 등 추가 정책 강도 강화는 부재했다"면서 "금융시장은 연준의 저금리 기조 장기화보다 정책 강도가 추가로 확대되지 않음에 집중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성명서 문구가 대폭 수정됐다고 지적했다.
하 연구원은 "평균물가목표제 도입에 따라 물가 달성 목표가 변했다. 금번에는 물가가 지속해서 장기 목표(2%)를 밑돌고 있어 일정 기간 물가가 2%를 완만하게 웃돌아 향후 물가가 평균 2% 및 장기 물가 기대 2% 고정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기존 목표는 대칭적 2% 물가 달성이었다"고 밝혔다.
완화적 통화정책 방향은 더욱 뚜렷해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연준은 완전고용 및 물가 목표 달성이 될 때까지 완화적인 통화정책 스탠스를 유지할 것을 예상한다고 밝혔다"면서 "기존의 성명서 문구(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적절하게 행동할 것)보다 직접적으로 완화적인 통화정책 스탠스를 언급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연준은 향후 통화정책 스탠스 평가에 있어 정보 모니터링 대상에 기존 노동시장 상황, 물가 및 물가 기대, 금융 및 국제 상황에 더해 공중 보건도 추가됐다. 경제 및 금융시장 환경이 코로나 사태에 따른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하 연구원은 다만 최근 경기 회복에 따라 부정적 톤은 소폭 조정됐다고 밝혔다.
그는 "기존에는 경제활동과 고용의 급격한 감소 이후 다소 회복됐다고 언급했으나 이번에는 경제활동과 고용의 감소 이후 회복됐다고 표현하며 '급격한', '다소'라는 표현이 삭제됐다"면서 "공중보건 위기가 경제활동과 고용, 물가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표현은 '지속해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바뀌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