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청을 통해 7조원 중반으로 결정된 4차 추경예산이 전액 국고채로 발행할 방침으로 알려졌지만, 남아있는 국고채 바이백 여력을 활용하면 국채발행물량을 줄일 여지가 있다.
기재부에 따르면 현재 바이백 예산은 9월 2조원을 제외하고도 4분기에 8조원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일부를 활용할 수 있다면 국고채 공급 증가에 따른 시장 부담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란 계산이 나온다.
일반회계와 기금회계는 원칙적으로 구분되지만 2013년과 2015년에 추경을 편성할 때 교환/바이백 물량을 전용했던 사례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재부 국채과 박찬효 사무관은 "기재부는 구체적인 4차 추경안이 나오면 내부 검토를 거쳐 국채발행물량을 검토할 것"이라는 기본입장을 전했다.
박 사무관은 "시장에서 바이백 여력을 활용해 국고채 발행 물량을 줄일 수 있다는 의견이 시장에서 나오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내부 협의 과정에서 검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구체적인 것은 10월 국고채발행 물량 발표할 때 이야기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운용사의 한 운용역은 "시장 불확실성이 대부분 사라진 상황이지만 바이백 예산을 활용한 국채발행물량의 축소 재료는 아직 남아있다"면서 "과거에도 활용했던 사례가 있기 때문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