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성수 위원장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팝펀딩 물류창고 방문이 실무부서가 아니라 정권의 친한 지인이나 권력기관의 요청에 의한 것이었냐"는 유의동 미래통합당 의원의 질의에 "전혀 아니다"라며 이처럼 밝혔다.
은 위원장은 “미리 알았더라면 방문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실무부서의 판단으로 방문했을 뿐 정권의 친한 지인이나 권력기관에서의 요청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당시 방문은 순수한 의도로 자체 판단해서 간 것”이라며 “앞으로는 더 조사하고 가겠다”고 강조했다.
유의동 의원은 이와 관련해 “금융위원장이 현장을 방문해 혁신이라고 하면서 사기 피해액이 더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은 위원장은 이에 대해 “팝펀딩 대출은 이미 이전부터 돼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투자 액수가 늘어나거나 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중소기업, 전자금융업 등 혁신기업을 방문하지만 요새 사후에 어떻게 될지 알기 어려워 방문하기 두렵다”라며 “지금 생각해보면 후회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팝펀딩은 P2P(개인간 거래) 대출 거래로, 홈쇼핑·오픈마켓 등에 납품하는 중소기업이 상품 등을 담보로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돈을 빌려주는 동산 담보 대출 상품이다.
앞서 은 위원장은 지난해 11월 파주 소재 팝펀딩 물류창고를 방문해 “앞으로 팝펀딩을 시작으로 또 다른 동산금융 혁신사례가 은행권에서 탄생해 보다 많은 혁신·중소기업이 혁신의 과실을 누릴 수 있길 기대한다”고 기대감을 드러낸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은 위원장은 동산금융 활성화를 위해 동산담보법 개정, 동산담보 회수지원기구 설치 등 인프라 구축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금융감독원이 팝펀딩의 대출 취급 실태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불법 혐의를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금감원은 지난 2월 사기 등의 혐의로 팝펀딩을 검찰 수사 의뢰했고,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