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을 개발 착수한 것으로 알려진 제약·바이오주 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경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기본적인 체력 없이 상승한 코로나19 테마주는 향후 이슈가 잠잠해지면 급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분석이 쉽지 않아 투자 판단에 혼종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허 연구원은 “이와 함께 공매도 금지와 저금리로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밸류에이션 없이 기업의 가치를 판단해야하는 바이오는 수급적으로도 유리하다”며 “제약·바이오 업체의 주가 상승은 자금조달로 이어지고, 이는 연구개발(R&D) 투자의 선순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치료제·백신 개발 착수 소식만으로 이를 기업가치 상승으로 연결짓기에는 아직 섣부르다는 설명이다.
허 연구원은 “개발 인력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투입되면 기존 개발하던 프로젝트의 집중도가 분산된다”라며 “정부 연구개발 자금 조달 없이는 직접 개발비 투자를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200개 이상의 코로나19 관련 임상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개발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어 단순 치료제 개발이 바로 수익성으로 이어진다고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실적이 없는 바이오텍의 신약가치 판단은 쉽지 않으나, 학회 등에서의 성공적인 데이터 발표 혹은 기술 수출은 신약 가치 상승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허 연구원은 “학회 외에도 기술 수출 소식이 이어진다면, 관련 기업의 신약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올해 중순 암학회 개최가 지나고 단기적으로는 학회 모멘텀은 부재하나, 8월 이후 다수의 학회들이 개최돼 파트너쉽의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