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대신증권
공동락 연구원은 "현재 금융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정책 기대를 감안할 때 채권을 하나의 자산군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자산시장의 안정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여전히 중장기적(3~6개월 전후) 관점에서 채권보다는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유지한다"면서도 지금은 채권의 유용성이 큰 국면이라고 진단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가 실물 경제에 반영될 수 있다는 우려들이 차츰 확산되고 있으며, 초기 불확실성 요인의 발생 자체에 주목했던 각국의 정책 당국들 역시 이제는 경기 하방 위험들을 인정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향후 각종 정책적인 대응의 수위나 강도에 주목해야 할 시기"라며 "경기를 방어하기 위한 정책에 대한 기대는 채권과 같은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입장에서는 위험 요인들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소위 ‘중앙은행 풋(put)’으로 불리는 자산시장 내 안전판 확보를 위한 정책 당국의 행보가 가장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바로 채권시장의 안정, 즉 시중금리의 안정을 통해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