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인구고령화로 고연령층의 자산·부채 보유행태 및 재무건전성 변화가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 2017년 이후 규제 강화 등으로 모든 연령층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으나, 60대 이상은 비교적 높은 증가세인 9.9%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60대 이상 대출 비중이 2014년 이후 연평균 0.5%포인트 상승하면서 올 3분기 말 18.1%에 달했다. 60대가 13.2%, 70대 이상이 4.9%를 기록했다.
차주 1인당 대출금액은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한 가운데 3분기 말 60대 이상이 7900만원으로 30대 이하에 비해 높았다. 반면 주된 경제활동계층인 40~50대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분포를 보면, 60대 이상은 여타 연령층에 비해 고소득·고신용자 대출 비중이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60대 이상은 비은행대출이 절반을 넘고, 84.7%이 담보대출이었다.
한은은 고연령층 가계부채의 누증 원인으로 ▲차주의 고령화 ▲노후소득 확보를 위한 차입수요 증가 ▲원금상환을 통핸 부채축소 제약 등을 꼽았다.
한은은 “55~63년생까지의 베이비붐 세대의 고연령층 진입이 본격화되면서 60대에 신규 편입되는 차주의 대출규모가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대수명 연장 등으로 노후준비 필요성이 커진 상황에서 임대부동산 투자 및 자영업 진출 등을 위한 차입수요가 지속하고 있다”며 “대출구조 측면에서 60대 이상은 일시상환방식 대출 비중이 높아 원금상환을 통한 부채축소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고연령층 가계부채의 잠재 리스크를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은은 “고연령층은 소득 측면에서의 레버리지가 높고 금융자산에 의한 채무대응능력이 떨어지는데다 최근 건전성 저하 조짐이 일부 나타나고 있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채구조 질적 개선 및 리스크 관리 강화, 역모기지론 등 실물자산 유동화 제도의 활성화, 금융상품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한 가계자산 구성 다양화, 소득여건 개선을 통한 채무상환능력 제고 등의 지속적인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