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진 연구원은 "OECD 경기 선행지수가 10월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했다"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상승폭이 0.01pt에 불과했지만 경기선행지수가 반등한 것은 꼬박 2년 만이어서 의미를 부여할 만하다는 것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경기가 좋았던 미국보다 유럽 쪽 변화 가능성을 주시했다.
그는 불확실성이 있지만 매크로 환경에서 다운사이드 리스크보다 업사이드 포텐셜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그는 "관세부과가 예정된 12월 15일이 불과 며칠 앞으로 다가왔지만, 협상 결과를 자신할 수 있는 것은 적다"면서 "관세부과 시 제조업 경기지수와 주가지수 조정이 나타나며 전체 경기선행지수도 재차 하향 조정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나 "여러 국가에서 경기선행지수 반등이 동시에 나타났다는 점과 미국 및 독일, 중국 등 상당수 국가에서 반등이 나타난 점은 향후 경기의 Upside를 높이는 부분"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전체 글로벌(OECD 가입국 + 6개 주요 신흥국) 및 다양한 국가에서 동시에 선행지수 반등이 나타났다는 점에서 글로벌 매크로의 하방 리스크가 줄어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12개월째 전년비 마이너스를 지속 중인 한국 수출 개선 가능성도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자료=KB증권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