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3분기 DLS 발행금액은 6조5,018억원으로 직전분기(8조6,436억원) 대비 24.8% 감소했다. 하지만 전년동기(5조7,442억원)에 비해서는 13.2% 늘었다.
발행형태별로는 공모발행이 2조613억원으로 전체 발행금액(6조5,018억원)의 31.7%를 차지했으며 직전분기(2조94억원) 대비 2.6% 증가했다.
사모발행은 4조4,405억원으로 전체 발행금액의 68.3%를 차지했고 직전분기(6조6,342억원) 대비 33.1% 감소했다.
기초자산별로는 금리연계DLS가 2조1,138억원(전체 발행금액의 32.5%)으로 가장 많고, 혼합형DLS가 2조781억원(32.0%), 신용연계DLS가 1조3,481억원(20.8%) 발행됐다.
상위 5개 증권사 발행액이 3조8,804억원로 전체 발행액의 59.7%를 차지했다.
증권사별 발행규모는 하나금융투자가 9,924억원을 발행해 1위를 기록했으며 상위 5개사의 DLS 총 발행금액은 3조8,804억원으로 전체(6조5,018억원)의 60% 수준이었다.
DLS 상환금액은 7조8,994억원으로 직전분기 대비 3.2% 증가했다.
3분기 DLS 총 상환금액은 7조8,994억원으로 직전분기(7조6,508억원) 대비 3.2% 증가했다. 전년동기(5조1,530억원) 대비로는 53.3% 늘었다.
상환유형별로는 조기상환이 4조109억원으로 전체의 50.8%, 만기상환이 3조6,904억원으로 46.7%, 중도상환이 1,981억원으로 2.5%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9월 말 기준 DLS(DLB 포함) 미상환 발행 잔액은 39조6,880억원으로 직전분기(40조6,188억원) 대비 2.3% 감소했다.
한편 DLS는 금리, 원자재, 신용사건 등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해당 기초자산의 가격변동과 연계해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권리가 표시된 것으로 파생결합증권의 한 종류다. 조기상환은 만기 도래 전 특정시점에 사전에 정한 조건을 만족했을 때 발행회사가 투자자에게 원금과 사전에 정한 수익률을 지급하면서 종료되는 상환이며, 중도상환은 만기 도래 전 투자자가 발행회사에 매수를 요청하면 발행회사가 투자자에게 중도상환금을 지급하면서 종료되는 상환이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