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미분양 주택이 줄어든 54곳 중 75%인 41곳의 올해 아파트값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미분양 주택이 일부 해소됐지만 아파트 매매시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상황이다.
17개 시도 기준으로 미분양 주택이 줄어든 지역 중 대전(2.6%)과 광주(0.2%) 두 곳만 오르고 경북(-3.9%), 충북(-3.0%), 전북(-3.0%), 충남(-2.7%), 제주(-1.0%) 지역은 하락했다. 경북, 충북, 충남 지역은 미분양 주택이 1천 가구 이상 줄었는데 누적된 물량으로 아파트값 하락폭이 컸다. 7월 기준 경북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말 대비 1,478호 줄면서 7,517호 남아있다. 충남은 6,201호, 충북은 3,236호 각각 미분양 주택이 누적되어 있다.
시군구로 살펴보면 경기도는 미분양 감소 지역 12곳 중 9곳에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안성(-3.3%), 동두천(-0.9%), 용인(-0.8%) 지역은 미분양 주택이 50가구 이상 줄었지만 아파트값은 하락했다. 경기도 안성과 용인은 주변지역인 평택과 화성 등 2기신도시에서 새 아파트 입주가 이어져 물량 압박을 받고 있다.
한편, 올해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말 대비 129개 지자체 중 54곳에서 감소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