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미국의 관세 인상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나타나고 있고, 미중 정상간 무역협상 재개 합의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갈등 해소가 어려워 경제심리 개선이 지연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센터는 "미국이 화웨이 제재를 지속하고 잔여 중국산 수입품 약 $3,000억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의 성장률이 최대 1.3%p 하락할 것이란 예상도 있다"면서 "최근 국내 및 수출주문지수가 16년 2월 이후 처음 두달 연속 기준치(50)를 동반하회하고 소비자신뢰지수도 5개월래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내부적으로는 하반기에 소도시를 중심으로 부동산시장이 위축되면서 정부의 부양책 시행 여력을 제약해 경기하강 압력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들도 나온다고 소개했다.
중국은 5월에 주택가격 상승률이 4개월만에 둔화되고, 거래량도 3개월만에 감소세로 전환됐으며, 부동산경기지수도 4달만에 반락했다.
센터는 "지방정부의 전체 세수에서 토지사용권 매각 수입이 20% 가량을 차지함에 따라 부동산시장 부진이 정부의 재정지출 여력을 축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센터는 또 "중국 정부가 감세 및 인프라투자 확대 등 경기 대응 조치를 강화하면서 금년 전체로 경제성장률이 6.2% 내외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했다.
센터는 "중국 정부가 연말까지 약 8.3조위안(GDP의 9.2%) 규모의 국채발행(6.9조위안), 기업 감세(1.1조위안) 및 사회보험료 부담 완화(3,000억위안) 등 부양책을 시행할 전망"이라며 "통화정책의 경우 부채 증가 및 자본 이탈 등에 대한 우려로 중소기업 등에 대한 선별적 유동성 지원에 주력하는 등 신중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