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건형 연구원은 "실물경제만 고려하면 한은은 기준금리를 25bp 이상 인하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그는 "성장과 물가 모두 2018년 1분기부터 둔화되기 시작했다"면서 "성장률과 물가 상승률을 합한 값은 2017년 4분기를 고점으로 가파르게 둔화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G2간 무역 분쟁이 장기화되면서 수출과 투자 부진이 심화됐고 금년까지 성장세의 추세적 둔화가 불가피하다"면서 "물가도 하향 안정세"라고 밝혔다.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공급 측 물가 안정 요인이 지속된 가운데 공공 서비스 중심의 서비스 물가 상승 제약으로 수요 측 물가 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핵심소비자물가는 1% 내외에 고착화됐다고 밝혔다.
수요와 공급 측 모두 물가 상승 압력이 미미해 하반기 연중 0%대 물가 오름세 연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따라서 "성장률과 물가 상승률을 합한 값은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경신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은이 작년 11월 금리를 올린 것은 실물경제보다 금융 불균형을 비롯한 금융시장 안정성을 고려한 조치였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은은 금리인상 당시 부동산 중심의 가계부채 급증과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대내외 금리 차로 유발될 수 있는 자본 유출을 경계했다"면서 "금년 들어 금융시장 안정성 훼손 요인이 약화됐다. 2018년 하반기 LTV와 DTI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가계부채의 GDP 갭은 정점에서 후퇴했으며, 가계부채 증가율 갭은 마이너스(-)로 반전돼 정책 여력이 확보됐다"고 진단했다.
여기에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강해진 것도 향후 한은의 금리인하를 지지해줄 수 있다고 밝혔다.
하 연구원은 "2000년과 2006년 일부 기간을 제외하고 양국 간 기준금리 역전폭이 75bp를 상회한 적이 없었다"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에 따라 한은 역시 후행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