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중국 기업의 주문지수 상승도 미국의 추가 관세를 파하기 위한 밀어내기 효과가 일정수준 기여한 것으로 하반기 중 수출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센터는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 2,000억달러 규모에 대한 25% 관세부과 결정(5월 10일)후 6월부터 적용되면서 향후 밀어내기 효과가 소멸될 소지가 있다"고 풀이했다.
센터는 또 은행의 대출 수요 감소는 국유기업의 투자심리 위축을 반영하는 것으로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 효과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정책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등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2019년 3월 이후 두 달 연속 둔화(3월: 6.3%→4월: 6.1%→5월: 5.6%)됐으며, 6월 국가통계국(NBS) 제조업 PMI가 49.4로 2달 연속 기준치(50)를 하회해 경제심리가 위축 된 점을 반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