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서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G2 화해에 대한 희망을 선반영한 주식시장에 비해 채권, 외환시장은 상대적으로 무덤덤하다"면서 "긍정적 결과가 도출되면 주식보다 금리와 환율이 더 민감하게 움직일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미중 무역 갈등으로 중국, 對 중국 무역 비중이 높은 아시아 수출국, 유로존이 큰 피해를 입었다"면서 "미국의 피해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으며, 갈등이 봉합되면 누적 피해가 큰 지역 순으로 회복 모멘텀이 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따라서 "미국보다 미국 외부 국가들의 경기 모멘텀이 강하다면 달러 방향성은 약세로 기운다"면서 "약달러 환경이 임박했다"고 풀이했다.
이어 "채권시장은 금리인하 베팅을 되돌리며 연준과의 괴리를 좁혀갈 것이며, 장기금리도 추가 상승할 여지가 생긴다"고 밝혔다.
그는 "주식시장에선 반도체, 은행 관련주 순서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G2 갈등의 최대 피해주이자 화해의 최대 수혜주인 반도체를 최선호로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