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총재는 국회 업무보고에서 "현재는 통화정책 기조를 바꿀 상황이 아니다"라면서도 상황이 크게 바뀌면 정책기조도 달라질 수 있음을 거론했다.
김성식 바른미래당 의원이 "지금까지 한은의 스탠스인 '완화 정도의 축소'는 금리인상을 의미했다. 이제는 인상, 인하 다 고려할 수 있다는 있느냐"고 묻자 이 같은 발언을 내놓았다.
이 총재는 '완화적이란 것'의 의미에 대해 시중 유동성의 스퀴즈 우려가 없는 등 유동성, 금리 측면에서 보면 완화적이라는 뜻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총재는 아울러 지금은 통화정책 여건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총재는 "물가와 고용, 물가와 생산 등의 관계가 흐트러져 있어서 통화정책 결정 더 어려워진 건 사실"이라고 밝혔다.
김성식 의원은 "한은이 자꾸 대외 리스크가 문제라고 하는데, 사실 대내 리스크가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이 총재는 "대내 리스크는 구조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고 답했다.
IMF가 추경을 거론하면서 9조원이라는 수치를 거론한 것에 대해선 "근거는 알지 못한다. 예시로 그렇게 한 것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금리인상이 부동산 시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선 "부분적으로 영향을 줬을 것"이라며 "한은의 금융불균형 문제에 대한 인식이 경제주체들에게 시그널을 줬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재정 확대가 필요하지만 방향은 생산성 향상을 통한 잠재성장률을 높이는 쪽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총재는 또 "부총리와 경제를 보는 인식은 다르지 않다"고 밝혔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