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해외 장내파생상품(FX마진 제외) 거래량은 지난해 1분기 기준 1520만 계약으로 집계됐다. 국내 투자자의 해외 장내상품 거래량은 2011년 1100만 계약에서 2017년 4510만 계약으로 4.1배 불어나는 등 매년 증가세를 보여왔다.
해외 장내파생상품이란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되거나 유사 해외파생상품으로 지정된 선물·옵션거래를 말한다. 대표적인 해외 거래소는 CME Group(미국), Eurex(유럽), HKEX(홍콩) 등이고 유사 해외파생상품은 금·은을 비롯한 귀금속, 외국환 거래 일종인 FX마진 등이 있다.
해외 장내파생상품 국내 투자자 수는 작년 1분기 기준 4만3612명이었다. 이 가운데 개인투자자는 93.6%인 4만800명에 달했다. 특히 개인투자자의 1인당 거래대금은 2017년 한해만 3878만달러(약 436억원)를 기록했다.
그러나 개인투자자의 해외 장내파생상품 투자는 매년 손실을 내왔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개인투자자의 해외 장내파생상품 투자 손실액은 연평균 8200만달러(약 922억원)으로 집계됐다. 손실액은 2011년 7200만달러에서 2016년 1억2000만달러까지 불었다가 2017년에는 7400만달러로 다소 줄었다.
개인투자자의 손실계좌 수는 매년 이익계좌 수의 2배에 달했다. 작년 1분기 기준 개인투자자 계좌 중 손실을 본 계좌는 9396개로 이익을 본 계좌 4522개의 2.1배 수준이었다. 2017년에는 손실계좌가 이익계좌의 2.5배에 달했다.
국내 투자자의 FX마진 거래 규모는 2011년 말 증거금률 인상 등 시장 건전화 조치 이후 점차 줄고 있다. FX마진 거래대금은 2005년 765억달러에서 2011년 6654억달러로 늘었으나 2017년에는 723억달러로 다시 급감했다.
개인투자자는 FX마진 거래에서도 투자손실을 지속했다. 지난해 1분기 기준 손실계좌는 755개로 이익계좌의 2배 수준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투자자에게 해외 장내파생상품을 중개하는 국내 증권사와 선물사는 14곳이었다. KB증권, 교보, 대신, 미래대우, 신금투, 유안타, 이베스트, 키움, 하나금투, 한투, NH선물, 삼성선물, 유진선물, 하이투자선물 등이다.
금감원은 “개인투자자의 투자손실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투자자 수 및 거래 규모가 증가하고 있어 거래 이전에 상품 관련 이해나 거래위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며 “국내 중개사는 개인투자자가 해외시장의 구조 및 특성, 투자위험 등을 숙지할 수 있도록 사전교육 등을 통해 투자자 보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