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7만4000명이 임대사업자로 신규 등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2.8배 증가한 수치다. 신규 등록 사업자의 82.2%인 6만1000명은 서울(3만명), 경기(2만3000명), 부산(4700명), 인천(2800명)에 밀집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작년 말 발표한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의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올 상반기 임대사업자 등록이 급증했다"며 "종합부동산세 개편안이 확정됨에따라 다주택자가 종부세 합산 배제를 받기 위해 임대사업자 등록을 할 유인이 더 커졌다"고 말했다.
전체 등록사업자 수는 작년 말 26만명에서 총 33만명으로 27%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12만명), 경기(9만6000명), 부산(2만2000명), 인천(1만3000명)에서 1만명을 웃돌았다.
전체 등록사업자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50대가 31.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에 40대(26.3%), 60대(18.9%), 30대(12.9%) 순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주로 40~50대가 노후대비나 자산활용을 위해 임대용으로 주택을 취득하고 임대등록을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올 상반기 중 등록된 민간 임대 주택은 17만7000채로 지난해 상반기(6만2000채)대비 2.9배 증가했다. 이 가운데 9만3000채는 4년 이상 임대되는 단기임대주택, 8만4000채는 8년 이상 임대되는 장기임대주택이었다.
올 상반기 등록된 17만7000채는 지역별로 서울이 6만6000채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4만9000채, 부산 1만5000채, 경북 5500채, 충남 5000채 등의 순이었다.
등록된 전체 민간 임대 주택 수는 작년 말 98만채에서 115만7000채로 늘어났다. 단기임대는 98만2000채, 장기임대는 17만5000채다. 지역별로 서울 36만1000채, 경기 35만8000채이며, 부산 11만4000채, 인천 3만7000채 등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장기임대주택(8년 이상 임대)으로 등록 시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을 줄일 수 있으므로 다주택자의 임대사업자 등록은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