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LH.
LH 카셰어링 사업(이하 LH행복카)은 2013년부터 LH임대아파트 최초 50여개 단지에 도입되어 현재는 119개 단지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향후 LH가 개발하는 사업지구 내 모든 곳에서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주요 거점별 카셰어링 전용주차공간 및 전기차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입주민 모두가 원하는 곳, 시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간다는 의지다.
구체적으로는 대중교통 거점형, 대중교통 보완형, 거주지 중심형, 상업·업무 중심형 등 필요 유형을 선정해 공동주택 단지 내 노상·노외주차장 및 공원·녹지 공간 등을 활용해 카셰어링 서비스를 위한 주차공간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사업의 계획수립 단계에서 지역여건, 지구특성 등을 고려한 카셰어링 주차장을 선제적으로 반영하고, 버스, 지하철, 택시, 바이크 셰어링 등 수단간 연계시스템도 고려한다.
조현태 LH 스마트도시본부장은 “LH가 개발하는 사업지구에 카셰어링 서비스를 확대해 국민들의 가계비용 절감 및 도시 내 교통체증·주차문제 완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공유경제의 대표 사례인 카셰어링 산업이 국내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LH가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