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다음 달까지 제도를 정비해 드론을 이용한 공공측량을 올해부터 본격화하겠다고 26일 밝혔다.
공공측량은 국가·지자체·공공기관이 발주하는 도로·철도·공항·수자원·택지 개발·단지 조성 공사 등의 기본이다. 항공 및 지상측량에 의한 방식으로 측량 품질 확보를 위해 공간정보산업협회에서 성과 심사를 받아왔으나 그동안 드론에 의한 공공측량 작업지침과 성과 심사 기준이 없어 공공측량에 적용할 수 없었다.
국토부 국토정보지리원 관계자는 “각종 시범사업을 통해 드론 영상을 기반으로 수치지도 등 공간정보 제작방식 및 성과 심사 제도 개선안을 다음 달 까지 마련하겠다”며 “현재 행정예고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공공측량에 드론촬영이 보편화될 경우 항공촬영에 비해 약 30% 비용절감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며 “연간 1650억원의 공공측량 비용 중 283억원을 드론시장이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