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금통위는 이날 정례회의를 열고 2월 기준금리를 연 1.25% 수준으로 동결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작년 6월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25%로 내린 뒤 8개월째 유지하게 됐다.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 기준금리 조정보다 일단 금리수준을 유지하고 상황을 지켜보기로 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내적으론 지난 2년여간 기준금리 인하 속 급증한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 뇌관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가계신용 잔액은 1344조3000억원으로 2015년 말(1203조1000억원)보다 141조2000억원(11.7%) 급증했다. 한은이 가계신용 통계를 내놓기 시작한 2002년 이후 잔액이 1300조원을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의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계는 가처분소득의 26.6%를 대출 원리금을 갚는 데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 저소득, 저신용 취약차주의 경우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경우 이자부담이 늘어나 큰 충격이 불가피하다.
대외적으론 미국 연준(Fed)의 금리 인상이 지난해 말 본격화된 점도 꼽힌다. 한국시간으로 이날 새벽 발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1월 정례회의록에서 연준은 "고용과 물가 지표가 예상에 부합"한다면 전제로 "꽤 가까운 시일 내"(fairly soon) 정책 금리를 올릴 것을 시사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연 0.50~0.75%, 한국의 기준금리는 연 1.25%다. 미국이 올해 2~3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금리 역전이 가능한 상황이다.
보호무역주의를 주장하는 도널드 트럼프 신 정부 정책 방향, 우리 경제의 무역 의존도가 높은 중국과의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 등도 악재로 꼽힌다.
우리 경제 성장률이 5분기째 0%대를 나타낼 만큼 경기 상황이 좋지 않지만 금리 동결이 단행된 것으로 관측된다. 이주열닫기

한편, 이날 이주열 한은 총재의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도 관심이 모인다. 외환시장에선 미국 재무부가 오는 4월 환율보고서 발표를 앞둔 가운데 '환율 조작국' 지정 이슈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