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경훈 부행장, 정정희 부행장, 한준성 부행장

이번 2017년 조직개편은 본부 및 영업본부의 슬림화를 통한 통합 시너지 극대화의 발판 마련 및 조직 운영의 유연성 확보로 그 의미가 함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직 개편 취지에 맞춰 ▲ 탁월한 성과와 능력을 보이고 ▲ 영업현장과 소통을 중시하며 ▲ 직원과 공감하며 솔선수범하는 ▲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조직에 끊임없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리더들로 대규모 세대 교체가 이루어졌다.
1. 조직 개편
1) 영업점 허브앤스포크 제도 시행으로 영업점간 협업강화 및 영업본부 4개 감축
KEB하나은행은 2017년 영업점을 Hub 영업점과 Spoke 영업점으로 구성하는 클러스터 제도를 전면 도입하고, 이를 통해 영업본부 4개를 감축 운영한다.
KEB하나은행이 시행하는 클러스터 제도는 지리적으로 인접한 다양한 유형의 영업점들을 하나의 클러스터로 구성하고 Hub 영업점의 Senior 지점장이 하위 Spoke 영업점 지점장을 관리하며 본부부서와 직접 접촉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점주권 중복에 따른 통폐합과 향후 대면채널 비중 축소를 대비한 영업본부 축소 운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2) 신속한 현장지원과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본점 조직 슬림화
KEB하나은행은 신속한 영업점 현장 지원과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본부 그룹 1개, 본부 1개, 부서 11개 축소 등 본점 조직 슬림화를 단행하였다.
우선 리테일과 자산관리 부문간 통일된 전략과 시너지를 위해 리테일지원그룹과 자산관리그룹를 통합하여 개인영업그룹으로 변경하였고, 통합은행 출범 초기의 변화와 전산통합과정 안정화를 위해 신설되었던 부서 폐지 및 업무 연관성이 높거나 업무통합 시너지가 있는 부서를 통합하여 본점 부서 11개를 감축하였다.
3) 은행 강점 역량 확산을 위한 4개 사업단 신설
KEB하나은행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은행의 강점 역량의 확산과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전사적 지원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기존 자산관리/외환/IB/신탁본부를 격상시킨 4개의 사업단을 신설· 운영한다.
이를 위해 WM사업단, 외환사업단, IB 사업단, 신탁사업단이 각각 신설되어, 각 부문별 통합시너지를 확산시키며 수익성 강화 및 은행 핵심 경쟁력 제고에 주력할 예정이다.
4) 프로젝트 중심의 혁신 조직인 셀(Cell) 조직으로 조직 운영의 유연성 확보
KEB하나은행은 미래금융사업본부의 모든 소속 부서를 미래금융사업부로 통합하여 프로젝트 중심의 유연한 혁신 조직인 셀조직을 운영한다.
각 ‘셀 부문의 장(長)’은 수행 프로젝트에 한해 부서장에 준하는 책임과 권한을 가지며 셀 부문의 소속 직원들은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합치거나 분리되는 등 유연한 인원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직 운영의 유연성이 확보되었다.
이외에도 손님관리 및 상품전략의 온-오프라인간 채널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인터넷뱅킹(모바일 포함) 업무를 리테일, 기업사업본부 등 해당 사업부로 통합하였으며, 대규모 손님창출을 위해 일상생활과 금융을 접목한 생활금융 플랫폼 사업을 담당하는 ‘생활금융 R&D센터’ 를 신설하였다.
2. 임원 인사
1) 지주 그룹전략총괄 장경훈닫기

2) 본부장 40명 중 16명(40%) 승진·교체, 창립이래 최대의 본부장 승진 인사
또한 이번 임원 인사의 주요 특징으로 영업실적과 직원과의 공감 및 소통에 능한 영업점장의 대규모 본부장 승진을 꼽을 수 있다.
본부장 40명중 16명(40%)이 승진·교체되어 창립이래 최대의 본부장 승진인사가 단행되었다.
이외 임원 62명(은행장, 상임감사 제외)중 총 26명 약 41.9%가 승진하였고, 이중 한준성 미래금융그룹 부행장의 경우 1966년생으로 은행권 부행장 중 가장 젊은층에 속하며, 장경훈 개인영업그룹 부행장 역시 1963생이다.
신윤철 기자 raindrea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