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금난 시달리던 엘시티, 부산은행 덕에 한 숨 돌려
부산은행은 지난해 16개 금융기관이 참여한 대주단의 주간사로 엘시티 시행사에 프로젝트 파이낸싱(PF) 한도대출 약정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엘시티가 진행하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규모는 1조 7800억원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엘시티 사업은 초기부터 사업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그 후 자금난이 겪고 있는 상태였다. 그런데 엘시티 시행사는 지난해 1월 부산은행으로부터 브릿지론(임시 자금 지원) 명목으로 3800억원을 빌렸다. 이 돈으로 2008년 군인공제회로부터 빌렸던 돈 3550억원을 갚았다. 엘시티 시행사는 2008년 부지 매입 등을 이유로 군인공제회에서 연 9%금리로 돈을 빌렸지만 약정기간 2011년 5월까지 이자도 내지 못해 수차례 만기가 연장됐었다. 당시 엘시티 실소유주인 청안건설 이영복 회장의 개인 채무는 1800억원이었고, 별다른 담보도 없었는데 거액 대출을 받은 것이다. 이 대출은 부산은행과 메리츠종합금융증권을 비롯한 15개 대출 금융기관이 지난해 9월 엘시티 측과 1조 7800억원의 대출 약정을 체결하기 전에 이뤄졌다. 부산은행은 PF 약정에 따라 브릿지론은 상환받고, 2800억여원을 추가로 대출해준 것으로 전해졌다.
◇엘시티 지원 위해 특별 승인까지
국내 1금융권 중에서 엘시티 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BNK금융지주 산하의 부산은행과 경남은행 뿐 이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각각 8500억원, 2500억원 한도의 대출 약정을 엘시티 시행사와 맺었다. BNK금융 자회사인 BNK캐피탈도 500억원의 대출 약정을 맺었다.
부산은행은 엘시티 사업을 무리하게 지원한 정황이 또 있다. 부산은행의 약정액은 대출 한도를 자기자본의 15%(약 7200억원) 이상 넘기지 않는다는 내부 규정상 한도도 넘겼다. 이를 위해 은행 내부위원회의 특별 승인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은행은 엘시티와 대출 약정을 체결한 16개 금융사 중 가장 많은 대출 22851억원(11월 현재 잔액 기준)을 제공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엘시티 프로젝트의 시행사인 엘시티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는 2008년 4월 설립됐다. 당시 부산은행은 36만주의 주식을 투자해 6%의 지분을 가진 대주주로 올라섰다. 부산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은 엘시티PFV의 실소유주인 이영복 청안건설 관계사이거나 자회들이 지니고 있다. 부산은행 측은 법인세법 시행령에 따라 PFV사업은 은행권이 5%이상 지분에 참여해야 성사된다며 엘시티 사업지가 부산은행의 주력 영업구역이고 앞으로 금융지원 참여기회 확보 등의 목적으로 엘시티 PFV 출범 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 금감원 조사 앞둔 부산은행 관련성 나올까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은 부산은행에 대한 공동 검사에 들어갔다. 금융감독원은 22일 "금융감독원의 부산은행 검사는 엘시티 대출과 무관하다"고 밝힌 상태이나 이미 지난 14일 엘시티 사업과 관련한 금융권의 불법 대출 의혹에 대한 1차 조사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21일) 채널A는 '엘시티에 1조 대출…부산은행 전격 검사' 기사에서 "금감원은 부산은행에 대한 전격 감사에 들어갔다"며 "금감원 직원이 내려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관계를 검사하고 있는데 엘시티가 그 중심에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금감원은 이번 조사는 한국은행의 지난달 말 '지방은행 취약부문 점검을 위한 공동검사 요구'에 따른 조치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등 5개 지방은행에 대해 순차적으로 '8·25 가계부채 대책' 후속조치와 관련한 리스크관리와 내부통제 실태 점검을 위한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이번 지방은행 검사는 개별 위법·부당행위에 대한 적발이나 제재 목적이 아니라 금융회사의 경영건전성, 리스크관리 점검·개선 등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건전성 검사"라고 밝혔다. 그러나 엘시티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현 상황에서 이번 공동 검사 때 관련 조사도 같이 진행될 것이라 예측되고 있다.
신윤철 기자 raindrea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