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롯데월드.

롯데는 검찰 수사가 마무리된 만큼 이르면 다음 주 그룹 혁신안을 내놓고 조직 개편 및 경영 정상화를 본격화 할 예정이다.
지난달 20일 롯데그룹의 경영 비리 의혹과 관련해 신동빈 회장이 검찰 출석한 가운데, 롯데 측은 “최근 일련의 일들로 롯데를 사랑해주시는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데 깊이 사과한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이어 “이번 사태를 통해 더욱 큰 책임감을 가지고 사회공헌에 앞장서고, 국가경제에 기여하겠다” 며 “신뢰받는 투명한 롯데가 될 수 있도록 뼈를 깎는 심정으로 변화하겠다” 말한데서 이번 쇄신안이 비롯됐다.
롯데 쇄신안에는 지배구조의 투명성 개선과 기업문화 개선·적극적인 사회공헌 등의 내용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7월 신동빈-동주 형제의 경영권 분쟁이 시작되면서 롯데의 복잡한 출자구조가 수면 위로 드러났다. 이후 롯데는 일본기업이라는 비판에 시달려왔다.
한국 롯데의 지주사격으로 꼽히는 호텔롯데의 지분 중 99%는 일본 롯데홀딩스가 소유한 기형적 구조를 보이고 있다. 롯데가 일본 기업이라는 인식 또한 여기에 기인한 것이다.
롯데 내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내년 호텔롯데 상장이 다시 추진되며 상장 재추진 과정에는 일본 주주들의 상장 이익을 줄이는 방안이 마련된다.
일본 롯데홀딩스의 지분은 광윤사가 28.1%, 종업원지주회가 27.8%, 그린서비스·미도리상사 등 관계사 20.1%, 임원 지주회가 6% ,투자회사 LSI가 10.7%, 신 총괄회장을 포함한 롯데 총수 일가의 지분은 약 10% 안팎으로 구성 돼 있다.
130여 일간 이뤄진 대대적인 검찰 수사는 “호텔롯데의 상장을 통해, 전체 주식의 35%를 일반 공모하며 일본계 주주의 영향력을 낮추겠다”던 신 회장의 지배구조 개선 작업을 연기시켰다.
롯데의 지주사격인 호텔롯데를 상장할 시 주요 경영 현안 공시를 강화할 수 있다. 아울러 주주구성을 다양화해 일본 롯데의 지분율도 낮출 수 있을 전망이다.
경영권 분쟁과 장기적인 검찰 수사로 실추된 그룹 이미지 회복을 위한 적극적 사회공헌 계획도 발표될 예정이다.
정책본부 내 5명 안팎에 불과한 CSR관련 전담 인원을 대폭 확충할 계획이며, 호텔롯데를 앞세워 입찰한 요양병원 보바스기념병원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는 등 발빠른 이미지 개선 행보를 보이고 있다.
롯데는 보바스병원을 통해 소외계층 및 취약층에 대한 의료봉사와 지원활동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 했다는 것이 업계의 평이다.
롯데는 다음주 중 쇄신안을 발표한 후 12월에 정기인사의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쇄신안의 이행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