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ᐃ임종룡 금융위원장은 7일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금융위·금융감독원 주요 간부와 각계 전문가가 참석한 '2016년 리스크 점검회의'를 주재하면서 올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리스크 관리가 그 어느 해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지난 6일 북한의 수소탄 핵실험 소식에 대해서는 "과거 미사일 발사 등 북한 관련 이슈가 발생할 때 금융시장에의 영향은 일시적이고 제한적이었다”며 “전날 시장도 일단 전반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이번에는 북한이 수소폭탄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만큼 북한 핵문제 성격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올해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금융 등 구조개혁의 추진 △가계부채의 연착륙 유도 △기업구조조정의 차질없는 추진 △금융산업 건전성 강화 및 시장 안정방안 △서민금융 지원·소비자 보호 강화 등에 중점을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임종룡 위원장은“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의 대외 건전성과 재정 건전성 등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라면서도 “그러나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상황에 맞게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금융 개혁 등 4대 부문 구조개혁을 확실히 추진해 기초 체력을 튼튼히 다지고 대외 신뢰를 확보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가계부채, 기업부채, 외환·증권시장의 변동 등 잠재위험을 선제로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가계부채 문제도 우리 경제의 위험요소라고 지적했다. 그는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한결같이 대응 중”이라면서 “갚은 수 있는 만큼 빌리고, 대출받는 시점부터 조금씩 갚는 금융 관행을 뿌리내리도록 해 질적인 구조 개선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구조조정의 고삐도 늦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부실징후 기업으로 선별한 229개 기업에 대한 개별 구조조정을 조속히 추진하고, 올해도 채권 금융기관 주도의 상시 위험진단에 나설 방침이다. 조선·철강·석유화학·해운·건설 등 5개 업종에 대한 산업별 구조조정도 신속히 이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민간 주도 구조조정 전문회사를 통해 상시적·시장친화적인 구조조정 시스템 구축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 밖에 금융산업 건전성과 서민 금융 지원, 소비자 보호 강화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임종룡 위원장은“시장이 차분하고 냉정하게 대응토록 시장 소통을 확대하고,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글로벌 수준에 맞게 관리하면서 시장 안정성을 높이겠다”며 “저신용 서민 계층을 위한 자활·재기·금융지원에 대해 정부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고성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장, 남재현 국민대 경제학과 교수, 문영배 NICE평가정보 소장, 서현주 신한은행 부행장, 송인호 KDI 연구위원, 신동준 하나대투증권 이사, 이석종 법무법인 청우 대표변호사, 이은영 한국 YMCA연합회 이사, 임경묵 CJ미래경영연구원 부사장, 임지원 JP모간 전무, 정미영 삼성선물 리서치센터장 등이 민간 전문가로 참석했다.
김의석 기자 es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