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 위원장은 또 "금융의 본질적인 기능은 경제의 혈맥을 흐르게 해 ‘돈이 도는 활기찬 경제’를 만드는 데 있다"며 "금융중심지 정책은 긴 안목을 갖고 꾸준히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고 금융중심지 정책을 통해 우리 금융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미래를 이끌 핵심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금융중심지 정책이 그간 외국계 금융사를 얼마나 많이 유치했는지 하드웨어적인 목표치에만 집중해 온 측면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금융중심지 정책 재정립 추진계획과 금융사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세일즈 외교 실적 및 향후 계획이 논의됐다. 금융중심지 정책 재정립 추진계획과 관련 정부는 동북아 금융허브 추진전략 발표 이후 일관성 있게 금융중심지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이로 인해 그간 금융산업의 외형적 성장이 어느 정도 달성되고 금융인프라가 확충됐으며 서울·부산 금융중심지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가 크게 개선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글로벌 금융규제 환경 변화 및 신흥국 금융시장 부상 등에 따라 금융중심지 정책 방향에 대한 점검 및 재정립 필요하다고 봤다. 이에 금융중심지 정책의 목표를 대내외 환경변화에 맞게 재설정하고 중앙정부와 지역 금융중심지간 효율적인 역할 분담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금융중심지 정책방향의 세부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금년 말에 실무 분과위원회를 구성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정책연구 용역 및 정책토론회 등을 통해 광범위하게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국내 금융사의 해외진출 애로 해소를 위해 현지 금융당국과의 네트워크 강화 등 우호적인 여건을 조성 중이며 향후 인도·중국 등으로 회의정례화 확대, MOU체결, 고위공무원 초청연수, 금융협력포럼 개최 등 금융외교채널 확충 지속 추진 할 계획이다.
김의석 기자 es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