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26일 오후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와 개최한 ‘중소기업 해외진출 공동설명회’에서 ‘신흥시장 30개국에 대한 투자환경위험평가’를 발표했다.
이번 설명회는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일본의 엔화 약세, 중국의 성장세 둔화 등 대외경제여건 악화와 우크라이나·이라크 등 지정학적 위험 고조에 직면하여 한국 기업의 주요 진출국에 대한 위험 관리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발표에 나선 임영석 수은 해외경제연구소 차장은 “아르헨티나는 정부의 시장개입 강화 및 외환통제, 무역제한조치 심화, 기술적 디폴트 발발 등으로 투자여건이 더욱 악화되고 있어 ‘투자 요주의’로 분류됐다”고 말했다.
투자자의 주목을 받고 있지만 투자여건이나 국가위험도가 여전히 취약한 수준으로 평가되는 미얀마와 내전 수준의 치안 악화와 무정부 상태에 빠져있는 리비아도 요주의 등급을 벗어나지 못했다. 라오스는 단기유동성위험 악화 등으로 투자위험수준이 상반기 ‘주의’에서 ‘투자 요주의’로 악화됐다.
반면 몽골은 수용·송금위험 개선, 글로벌경쟁력지수 순위 상승 등으로 위험수준이 상반기 ‘요주의’에서 ‘주의’로 개선됐다.
한편 이날 설명회에선 아프리카 미개척시장 진출방안도 논의됐다.
삼성전자 아프리카 지역장을 역임한 김준닫기

장충식 코트라 부장도 “자원의 보고인 아프리카에서 치타세대로 불리는 젊은층이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며 “특히 아프리카 전역으로의 수출 확대를 위한 교두보 확보 차원에서 남아공 진출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수은 해외경제연구소는 선진국을 제외한 총 30개 신흥국을 대상으로 매년 투자환경위험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김효원 기자 hyowon12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