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인 김기식닫기

자료에 따르면 2007년말 가계부채 총액 665조 4000억원 중 은행권 대출이 54.7%(363조 7000억원), 비은행권 대출이 29.8%(198조 1000억원)이었다. 그러나 2014년 상반기 전체 가계부채 1040조원 가운데 은행권 비중이 47.1%(489조 6000억원)로 7.6%p 줄어든 반면 비은행권은 3.5%p 늘어난 33.3%(346조 4000억원)이었다.
이러한 가계부채의 질적 악화 현상은 매 연말 기준 2007년 처음 확인된 이래 지난 정부와 현 정부 내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참여정부(2003~2007) 5년 동안 가계부채 연평균 증가율은 8.64%, 이명박 정부 5년(2008~2012)과 박근혜 정부 1년 6개월(2013~2014.6)을 합친 6년 반 동안 연평균 8.66%로 큰 차이는 없다.
그러나 자료에 따르면 참여정부 5년간 은행권 대출의 연평균 증가율(12.77%)이 비은행권 대출의 연평균 증가율(6.27%)에 비해 2.03배 높았지만 이명박 정부 이후 6년 반 동안은 반대로 비은행권 대출 연평균 증가율(11.52%)이 은행권 대출 연평균 증가율(5.33%) 보다 2.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 의원은 “2금융권은 은행권에 비해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가계부채의 총량이 같아도 2금융권 대출의 비중이 높으면 국민들의 경제적 부담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며 “2금융권의 중도상환수수료를 대폭 인하해 1금융권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저축은행의 10%대 중금리 대출 비중을 늘리거나 부실 위험이 거의 없는 예적금담보대출이나 약관대출의 금리 타당성을 검토하는 등 2금융권의 대출금리 자체를 인하할 여지가 없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의원이 금감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비은행권 금융기관 중 하나인 저축은행은 표준대출규정에 따라 최대 2%의 중도상환수수료를 받고 있으며 조사대상인 86개 저축은행이 2013년 한 해 동안 거둔 중도상환 수수료 수익은 200억원에 달했다.
또한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8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보면 은행권 대출의 가중평균금리는 4.18%였지만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의 가중평균금리는 4.76~11.70% 사이의 분포를 보였다.
김 의원은 자료를 통해 “국민들의 소득은 증가하지 않는데 정부는 뒷일은 생각하지 않고 빚만 더 내라 하고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대책은 제대로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소득분위별 부채증감, 대부업권 대출실태 등 가계부채의 질적 악화를 불러올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해 주기적으로 실태를 파악하고 대응 가능한 시스템을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효원 기자 hyowon123@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