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엔/달러환율은 지난 8월말까지만 해도 103엔 정도에 그쳤으나 양적완화종료를 확인한 9월 FOMC를 거치며 109엔까지 치솟았다. 앞으로 강달러 현상은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유로존, 일본 모두 추가 양적완화정책을 추진하거나 긍정적으로 검토하기 때문이다.
지난 8월 TLTRO(장기대출프로그램)를 선언하며 통화완화에 나선 ECB가 9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예상치 못한 금리인하와 함께 10월에는 ABS를 포함한 자산매입에 나설 계획임을 밝혔다. ECB의 결정이 BOJ(일본중앙은행)에게 아베노믹스의 주축인 양적완화를 연장시킬 수 있는 빌미를 제공했다는 평이다. 시장에서는 BOJ가 올해 말까지로 예정된 연간 60~70조엔의 자산매입을 내년까지 연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간의 통화정책이 엇갈리는 시점에서 시행되는 ECB와 BOJ의 양적완화는 앞으로 미국 연준위의 금리인상과 맞물려 글로벌 외환시장에서 미달러 강세와 엔화 및 유로화의 약세현상이 뚜렷해질 것이 확실시된다.
환율전쟁이 본격화될 경우 국내증시에도 불똥이 튈 전망이다. 엔화약세로 수출기업 비중이 높은 코스피에 수출경쟁력 약화에 따른 실적악화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실제 원/엔 환율이 10% 하락하면 국내 총수출은 9% 넘게 둔화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특히 IT, 자동차 등에서 일본과 치열한 수출경쟁을 벌이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원/엔 환율하락에 대한 부담은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유진투자증권 박석현 연구원은 “시장불안요인의 중심은 원/엔환율하락에 있는 것보다 환율변동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 있다”라며 ”글로벌투자관점에서 환율변동성확대는 위험회피성향을 최우선적으로 높이는 요인이 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나대투증권 소재용 연구원은 “원/엔 환율의 하락 가능성은 일본과 경쟁을 벌이는 주요 수출업종에 심리적인 부담이 작용하는 반면 재정확대에 더해 한은의 추가 금리인하가 단행되며 내수경기 부양 의지는 강화될 것이다”라며 “원/엔 환율의 하락 흐름에 성장성을 확보한 내수업종으로 대응하는 전략이 당분간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haeshe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