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지 상반기 말 1차 부실채권 정리 이후 국내외 실물경제 불안정 때문에 기업구조조정 요인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는다면 모든 지표가 안정적 궤적을 그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 특수은행 빼면 은행채 순상환 거듭 예상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일부 특수은행들의 경우 사정이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은행이 3년 미만 단기 은행채를 중심으로 순상환 걸음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은행들이 믿는 구석은 저축은행 등에서 빠져 나온 자금을 포함해 시중 자금이 은행으로 꾸준히 밀려 들고 있고 앞으로 다른 곳으로 대거 빠져 나갈 요인이 없다는 점이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5월 들어 지난 21일까지 은행 실세총예금은 12조 5587억원이나 늘었다. 요구불예금이 8198억원 빠졌고 CD발행은 의도적으로 693억원 어치 순상환 시켰을 뿐이다.
저축성 예금으로 빨아 들인 규모가 13조 3785억원이다. 자산운용업계 수신이 11조 2491억원 늘었지만 채권형과 채권혼합형에 약 5000억원 들어온 것만 눈에 띌 뿐 9조 9944억원 규모의 MMF 증가 폭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덕분에 은행채 순상환 기조는 하반기에도 꾸준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대세를 이뤘다.
◇ 장기 후순위채·신종자본증권 수요 충분
대신에 은행들은 장기채권 발행을 통한 자본확충에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대우증권 김민정 크레딧 애널리스트는 “하반기에는 기본자본으로 인정되는 신종자본증권과 보완자본으로 인정받는 후순위채 발행이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들 채권 만기가 통상 5년 이상인 장기채권이지만 오히려 공급부족이었던 은행채 시장에서 무난하게 소화될 것으로 그는 예상했다.
은행들이 자본확충을 겨냥한 장기채권 조달에 나서는 것은 바젤Ⅲ 자본규제가 오는 2016년부터 자본보전 완충자본비율 기준이 신설된 가운데 연차적으로 높아지는 등 도입이 점차 다가오고 있는데다 국제기구 차원에서 글로벌 시스템상 중요한 대형은행 규제 방안에 이어 나라별 중요한 대형은행 감독강화 원칙 확정이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국채금리 수준과 견주어 은행채 금리의 차이(신용스프레드)는 갈수록 안정될 전망이다. 물론 신용도가 낮아 5년 만기 AAA등급 은행채보다 높은 금리를 물던 3년 만기 AA+등급이 2분기부터 더 낮은 금리 수준으로 발행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 역시 채권시장에서 차츰 무르익고 있는 신용장기화 속에서 적정한 흐름인 것으로 보인다.
◇ 시스템 상 중요 대형은행 규제강화 선대비
금융감독당국은 이와 관련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시장집중도를 감안하면 대형은행 부실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내 대형은행에 사전적 감독기준이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예고한 바 있다.
상위 3개은행 시장점유율 상으로 국내 은행 시장은 0.53으로 일본의 0.46이나 미국 0.34보다 크게 높다. 전문가들은 원화대출 연체율 증가세를 적정하게 방비한다면 자본확충은 물론 수익성 전반에도 크게 악화될 일은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희윤 기자 simm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