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는 9일 본회의 직후 "앞으로 국내외 금융·경제의 위험요인과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움직임을 면밀하게 점검하면서 견실한 경제성장이 지속되는" 것을 전제로 삼을 것임을 밝혔다.
통화정책방향은 "중기적 시계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 목표 중심선에서 안정되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흥국 성장세 약화 & 국내 경제 수출둔화 우려
세계경제 흐름을 놓고서는 미국이 고용 등 일부 지표 개선움직임이었으나 유로지역이 부진했고 신흥국 경제 성장세가 수출둔화로 약화되는 모습을 이어 갔다고 살폈다. 유럽 국가채무문제에다 주요국 경제의 부진 지속, 중동지역 리스크 등 위험요인을 경계했다.
국내 경제 쪽으로는 내수가 저조한데다 수출도 줄면서 성장세가 둔화된 점을 지목했다. 국내 경제 성장률이 해외 위험요인 영향을 받아 하방위험이 높게 유지될 것으로 진단했다.
한국은행이 통화정책 결정 때 판단 근거로 제시하는 이 달 치 `최근 국내외 경제동향`보고서는 국내 경제 성장경로의 상·하방 리스크에 있어서는 하방리스크가 우세하다고 봤다.
견실한 경제성장이 지속돼야 한다는 전제를 세워 둔 입장에선 기준금리를 올릴 수는 없는 상황을 뜻한다.
◇물가상승률 하락 기저효과인데다 불안요인 산재
1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4%로 나타난 것에 대해서도 금통위원들의 표정은 밝지 않았다.
전년 같은 달보다 얼마나 오르내렸느냐를 따진 수치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물가 상승률이 2010년보다 워낙 높다 보니 올해 상승치가 낮게 인식되는 기저효과가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게다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중동지역 리스크 등 불안요인이 잠재해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기란 어렵다.
김중수 총재는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물가가 `상고하저`의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적어도 상반기 동안은 물가 수준이 안정화되기 어렵다고 보는 셈이다.
물가안정흐름이 자리잡지 못한데다 불안요인이 있기 때문에 물가 상승 부채질 우려를 무릅쓰면서 기준금리를 내릴 수는 없다는 상황을 간접 강조했다.
정희윤 기자 simm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