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글로벌 컨설팅기업 타워스왓슨이 발표한 ‘2010한국퇴직연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퇴직연금 적립금의 대부분은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집중된 것으로 집계됐다. 2009년 대비 2010년에는 원리금보장형 상품 비중이 기존 85%에서 88%로 약 3%증가한 것.
현재(2011.2월말 기준) 퇴직연금 전체 적립금은 약 30조원 8000억원에 이른다. 이는 2009년 말 적립금인 약 14조 400억원과 비교할 때, 약 119% 증가한 셈.
그러나 이렇게 급성장하는 시장 규모와 달리, 적립금 운용 부분은 여전히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집중되는 듯 예전과 다르지 않다.
이러한 배경에 대해 타워스 왓슨은 “퇴직연금 도입이후 사업자들간 경쟁 치열로 앞다퉈 고금리를 보장하는 상품을 제시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며 “금융당국이 고금리 상품 감독을 강화해, 금리 경쟁이 다소 시들해졌지만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는 가입자들의 성향도 반영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같은 맥락에서 2010년말 기준, 퇴직연금 실적배당형 상품(펀드 기준)의 누적판매 추이(설정액 기준)을 분석해본 결과, 일부 증권사에선 자 사 상품위주로 퇴직연금 상품을 판매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운용사들 보유중인 증권사에선, 각 업권별(은행/증권/보험) 퇴직연금 자산기준 상위 3개 사업자 실적배당형 상품 계열사 누적 상품판매 비중은 은행(26%), 보험(22%), 증권(79%)순으로 조사됐다. 은행이나 보험은 다양한 펀드를 판매중이라 계열 운용사 펀드 의존도가 낮지만, 증권은 주로 계열사 위주 펀드상품을 판매하는 셈이다. 또 증권사는 퇴직연금 이외에도 여러판매망을 활용해 다양한 펀드를 판매해 전문성은 높지만, 주로 특정계열사 펀드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점은 감안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인 것.
이와 관련 타워스왓슨 신광호 선임 컨설턴트는 “대형 금융 계열사 소속의 운용사 상품이라서, 또는 많은 투자자들이 가입한 펀드라고 해서 반드시 미래의 안정적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즉 퇴직연금 펀드를 고를때엔, 해당 펀드 설정액이나 운용사의 외형적 규모 뿐만 아니라 운용사의 투자철학과 지속성, 매니저의 투자전략 등도 꼼꼼 따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경아 기자 ka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