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스팩에 대한 시세조종, 합병관련 허위사실 유포 등을 통한 부정거래행위 등 증권 불공정거래행위를 집중적으로 감시하고 있다"며 "중대한 불공정거래 혐의사항이 발견될 경우 선의의 투자자 보호 및 불공정거래 확산 방지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스팩이란 새로운 제도가가 도입되자마자 시장이 과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정황이 포착되면 최대한 신속하게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며, 필요한 경우 특별조사팀을 꾸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통상 불공정거래 조사는 거래소에서 1차적으로 모니티링 한 이후 정황이 포착되면 금감원에 의뢰 정밀 조사를 펼치는 식으로 진행돼 왔다. 금감원과 거래소가 공동으로 집중조사 조치를 취하면서 이를 조사착수기간도 대폭 단축되고 강도도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말 신종플루테마주가 급등할 당시에 특별조사에 나서겠다고 밝힌 이후 주가가 진정기미를 보인 바 있다.
특정계좌의 시세관여로 주가를 상승시키는 행위나 합병에 관한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오해를 유발시키는 행위, 합병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유출, 이를 이용하는 행위 등이 중점 감시대상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합병에 관한 허위정보를 흘리거나 시세를 조종하는 세력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며 "조만간 더 강도높은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스팩의 단기 이상급등락에 따른 피해방지를 위해 추종매매를 지양하고 보다 신중한 자세로 투자에 나서달라"며 "불공정거래로 의심되는 정황 발견시 그 내용을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로 제보해 달라"고 강조했다.
관리자 기자 sh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