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2일 반포 메리어트호텔에서 개최된 ‘2008 스프링푸르덴셜투자포럼‘에 참석한 글로벌투자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번 포럼은 기관투자자 및 푸르덴셜국제투자자자문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등 각 국을 대표하는 CIO들이 모여 토론 및 전망을 펼쳤다.
이날 공동 토론에 사회자로 참석한 존프라빈 푸르덴셜 국제투자자자문 최고 전략가는 “지난해 세계 경제의 변동성을 야기시켰던 미국의 경기둔화 우려감은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호재로 2,3분기까지 점차 회복세를 보여갈 것”이라며 “그러나 시장내 유가상승 압력과 원자재 가격 급등,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등 리스크에 따라 4분기 이후 변동장이 예상되는 것도 사실”이라고 밝혔다.
예컨대 하반기 세계 증시의 상승여력은 존재하지만, 큰 폭의 변동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특히 지난해 말부터 변동폭이 확장됐다가 최근 안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는 중국은 향후 유가와 미국 주택가격이 안정되어야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날 공동 토론에 패널로 참석한 푸르덴셜운용 중국 현지운용사 제임스위안 CIO는 이어 그는 “유동성 확대와 미국의 달러화 강세가 이머징마켓, 특히 중국에 큰 호재를 줄 것”이라며 “이같은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서 미국내 주택가격이 안정되고, 기업 실적의 발목을 잡는 유가의 흐름도 안정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투자유망 섹터와 관련 프라빈 전략가는 “원자재, 에너지 수혜를 입는 브라질, 러시아 등 특정 국가들을 염두에 둘 만 하다”며 “또한 그동안 주춤했던 금융주도 하반기 글로벌 증시 랠리를 이끄는 원동력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지난 22일 열린 푸르덴셜투자포럼 공동토론에 참석한 미국·중국·일본·대만 각 부문 CIO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