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금융업, 수익성 좋아
2006년 기준 정부통계에 따르면 18~90세 성인중 564만명이 제도권 금융기관을 이용하기 어려운 신용등급 8~10등급에 해당한다. 즉 이들은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고 고금리인 대부업체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시중은행들은 이들 금융소외계층을 상대로 한 영업을 위해 소비자금융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은행들로서는 소비자금융이 성장성과 수익성 측면에서 또 다른 블루오션 시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와 금융감독 당국도 은행의 소비자금융 진출에 호의적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서민금융 활성화’를 강조하는 등 정부가 시중은행들의 소비자금융시장 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이런 정부의 지원을 업고 국민은행은 올해 안에 저신용도 고객을 위한 소비자금융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 강정원 국민은행장은 지난해 11월 “서민금융을 취급할 수 있는 기관을 별도의 자회사 형태로 설립할 것”이라며 “그동안 축적한 고객정보와 신용평가모델을 활용해 서민들을 위한 금융서비스를 제공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민은행이 고려하고 있는 대부업 전문 자회사 설립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현행법상 은행은 대부업 자회사를 보유할 수 없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법 및 은행업 감독규정에 의해 은행이 대부업체를 자회사로 거느리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측은 저축은행이나 캐피탈사 등의 설립 및 인수 등을 통한 소비자금융시장의 우회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즉 캐피탈사 등을 자회사로 거느린 뒤 25%대의 금리를 받는 서민금융 상품 개발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시장 및 업계상황에 따라 소비자금융 자회사 설립이나 캐피탈사의 인수 등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인프라 구축 나서
다른 은행들도 자회사를 통한 소비자금융시장의 우회적 진출을 꾀하고 있다. 우리은행의 경우 우리금융그룹의 계열사인 우리파이낸셜(옛 한미캐피탈)을 통해 조만간 소비자금융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측은 ‘우리파이낸셜’을 통해 금융소외계층을 위한 소액신용대출상품 출시 계획을 세우고, 이와 관련한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우리금융지주 관계자는 “현재 전산 및 인력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사전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며 “준비작업이 끝나는 대로 소액신용대출 상품 등을 출시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다각화 차원에서도 소비자금융시장 진출은 필요하다. 또 다른 계열사와 연계한 시너지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었다.
하나은행도 하나캐피탈 등을 통해 저신용자에 대한 신용대출상품 개발 등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신한금융지주도 신한캐피탈 등을 통해 소액금융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금융지주 관계자는 “제도권 금융기관으로서 소비자금융시장 진출은 부담스런 측면이 많다”며 “현재 신중히 검토하고 있지만, 소액신용대출 상품출시 등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이같이 은행들의 자회사를 통한 우회적인 소비자금융 진출에 대해 금융권 관계자는 “소비자금융업은 리스크가 높은 업종이다”며 “연체율 등이 높아 건전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시중은행들이 은행까지 리스크가 미치지 않도록 방어하는 차원에서 자회사를 통한 소비자금융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하성 기자 haha7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