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신흥 부유층인 강남 부자는 자산내역을 적극 공개하는 반면 전통적으로 부유층인 강북 부자들은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삼성생명은 자사 FP(재무설계) 센터를 방문한 134명의 고액 자산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134명의 고객 평균 자산 규모는 60억5000만원이었다.
지역별로는 강남(강남 4개구)이 72명, 강북이 62명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가장 많았고 직업은 대부분 개인사업가,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이었다.
강남북 고객들의 자산별 구성 현황은 달랐다.
강남은 자산이 주거용 부동산 52.6%, 투자용 부동산 33.3%, 금융자산 14.1%으로 나눠져 있었지만 강북은 주거용, 투자용 부동산이 각각 49.1%, 23.8%, 금융자산이 27.2%를 차지했다.
재무설계 관심 분야도 강남은 상속·증여, 강북은 금융투자가 1순위였다.
상속·증여에 관심이 많다는 강남고객이 31.3%로 가장 많았고 금융투자( 27.1%), 부동산 투자(13.2%) 순이었다.
반면, 강북 고객은 금융투자 29.8%, 상속·증여 26.6%, 부동산 투자 19.4% 순이었다.
제공받기를 원하는 정보에 강남은 경제동향을, 강북은 금융상품 동향을 1위로 꼽았다.
재산내역을 공개하는 태도도 강남 부유층은 개방적인데 비해 강북 부유층은 폐쇄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재호 기자 hana@fntimes.com